전체 글101 [Java] 자바 Random함수 사용방법, 무작위 숫자 생성 [1] 들어가며 개발을 하다보면 무작위로 숫자출 추출할 일이 필요합니다. Java에서는 Random이라는 함수를 통해서 무작위 숫자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보여드릴 코드를 통해 랜덤함수를 이용하여 무작위 숫자를 출력하며 범위는 어떻게 설정하는지 그리고 음수를 포함한 랜덤한 숫자는 어떻게 추출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Random함수 사용방법 아마도 아래 코드를 살펴보시면 쉽게 사용하실 수 있으실거라 생각됩니다. package test;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r; r = (int)(Math.random() * 3); // 0 ~ 2 중에 랜덤한 숫자 출력 System.out.println(".. 2019. 7. 28. [Java] 자바 HashMap 사용방법 [1] MapHash 이란? 자바에서 Map이란 배열이나 리스트와는 다르게 key : value로 정리되는 자료형입니다. 리스트의 경우 몇번째 리스트의 자료를 사용하겠다고 선언하는 반면에 Map에서는 key값을 선택하면 해당 key값에 대한 value값을 리턴합니다. map은 put, get, containskey, remove, size함수를 사용하는데 아래에서 해당 함수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 Put put함수는 map에 데이터를 집어 넣을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아래 코드를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package test; import java.util.HashMap;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2019. 7. 28. [Java] 자바 List 사용방법 [1] List 의 개요 List는 언뜻보면 배열과 비슷하지만 배열보다 편리한 기능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배열과 리스트의 크기에 대한 개념입니다. 배열의 경우 크기를 한번 지정하면 사이즈가 고정이되어 변경할수가 없지만 리스트의 경우 자료를 넣는 만큼 자동적으로 사이즈가 늘어나기 때문에 동적으로 활용하기에 유리합니다. List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함수 add, get, size, contains, remove를 통해서 사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2] Add List에 자료를 넣을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아래코드를 통해 List의 선언과 add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실 수 있습니다. package test;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 2019. 7. 28. [Java] 자바 배열의 선언 및 초기화 방법 [1] 배열이란? 이 포스팅에서는 배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바에서 특정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서 int나 String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저장이 가능하지만 여러개의 데이터를 한번에 보관하기에는 적절하지가 않습니다. 예를들어 요일을 저장하고 싶다면 기존의 방법으로는 String을 7개나 만들어줘야 합니다. 하지만 배열을 이용하여 만들경우 1개의 String타입 배열로 월, 화, 수, 목, 금, 토, 일요일 모두를 한곳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배열은 어떻게 선언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 배열의 선언 아래의 코드는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입니다. package test;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2019. 7. 28. [Java] 자바 접근제어자 (Access Modifier) Public, private, default, protected 사용법 [1] 들어가며 자바에는 Public, Private, Default, Protected와 같이 4가지의 접근제어자가 있습니다. 접근제어자는 자바의 Class나 함수 혹은 변수앞에 붙어 이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합니다. 예를들어 함수나 변수의 선언부 앞에 private가 붙은 변수나 함수는 자신이 속한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Public 첫번째로 살펴볼 접근제어자는 Public입니다. 가장 접근권한이 낮아서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한 접근제어자라고 보시면됩니다. public으로 설정된 메소드(함수)나 변수는 다른 어떤 class에서도 접근이 가능합니다. 아래 코드를 보시면 main2클래스 소속의 public static int n.. 2019. 7. 27. [Java] 자바 메소드(method) 함수의 생성과 선언 후 사용법 [1] 들어가며 자바에서는 함수를 어떠한 작업을 실행합니다. 아니, 모든 작업은 함수 안에서 실행됩니다. 또 함수는 다른 함수를 호출해서 함수안에서 함수를 사용할 수 있고, 다른 클래스에 위치한 함수도 가져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에서는 함수를 어떻게 만들고 만들어진 함수를 선언하여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함수의 생성 아래의 코드는 가장 기본적인 함수의 형태입니다. main함수는 기본함수이니 제외하고 아래에 있는 test함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함수의 접근제어자 : public Static 함수 여부 : Static 함수임 함수의 이름 : test 리턴타입 : void(리턴 값 없음) 파라메타 : 없음 public 함수 이기 때문에 이 함수는 다른 클래스에서도 .. 2019. 7. 27. [Java] 자바 클래스(class)와 객체(object) 생성하여 사용하기 [1] 들어가며 자바는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언어 입니다. 따라서 객체를 모르고서는 Java를 코딩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객체는 먼저 Class를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클래스를 사용하고자 할때 객체로 만들어서 사용하는데요 이 포스팅에서는 클래스를 어떻게 만들고 또 객체는 어떻게 만들어서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Class생성 아래의 코드는 mainClass.java파일에서 mainClass와 main2라는 이름으로 클래스를 생성한 모습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java파일 내에는 class를 한개가 아니라 여러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 public class는 java파일당 한개만 선언이 가능합니다. - public class.. 2019. 7. 27. [Oracle] 테이블 합치기 함수 UNION, UNION ALL DB를 사용하다 보면 두개의 테이블의 조회값을 한번에 보고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마치 FULL OUTER JOIN처럼요. 하지만 FULL OUTER JOIN을 지원하지 않는 DBMS도 있거니와 OUTER JOIN의 경우 데이터가 옆으로 붙는데 상황에 따라 데이터가 아래로 붙었으면 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UINON의 경우 서로 다른 테이블의 SELECT 결과는 상하로 붙게 되지만 OUTER JOIN의 경우 데이터가 옆으로 와서 붙습니다. 2019. 7. 24. [Spring] 에서 타일즈(Tiles) 세팅 및 사용법 1. Tiles Framework란? Tiles는 웹페이지의 상단메뉴나 좌측메뉴, 하단메뉴 등의 내용처럼 반복되는 부분들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템플릿 프레임워크 입니다. 예를들어 웹페이지상의 Footer부분은 모든 페이지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부분인데 만약 Footer부분에 있는 전화번호가 수정이 된다면 모든 페이지의 Footer부분에서 전화번호를 일일이 수정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Tiles는 별도로 Footer파일을 한개만 만들어 Include형식으로 각 페이지에 붙여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만 수정하면 전체 페이지가 모두 반영되어 유지보수에 있어서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JSP Include도 동일한 효과를 보여줄 수 있지만 Tiles는 좀 더 세분화 화여 관리.. 2019. 7. 21. [Tip]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Google)검색 최적화 설정 - URL등록, 구글 웹마스터도구 사이트등록, 사이트맵(sitemap) 등록 [1]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Google)검색 최적화 설정을 해야하는 이유 블로그를 운영을 하는데 방문자가 없다면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방문자가 늘려면 외부에서의 유입이 있어야 하는데 블로그를 만들었다고 해서 자동으로 내 블로그의 글들이 네이버나 구글에 노출되는 것은 아닙니다. 내가 작성한 글들이 구글이나 네이버에 노출이 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설정을 해줘야만 하는데 이 포스팅에서는 검색엔진 중 하나인 구글에서 자신의 블로그를 노출하기 위한 세팅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 내 블로그의 URL을 구글에 등록 첫번째 단계입니다. 현재 자신이 운영하는 블로그의 URL을 아래 링크에 접속하여 등록합니다. https://www.google.co.kr/intl/ko/add_url.html [3] 구글 웹마.. 2019. 7. 16. [Spring] 프레임워크 Web.xml 세팅방법 1. Web.xml 이란? Web.xml은 웹페이지의 환경설정을 위한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WAS가 최초로 구동될 때 web.xml을 읽고 메모리에 로딩이 되며 모든 Spring 웹어플리케이션은 반드시 하나의 web.xml파일을 가져야만 합니다. 이러한 web.xml 파일의 내부에는 다시 세분화된 설정파일들(dispacherServlet.xml 등등)을 설정하거나 웹에서 사용하는 설정들에 대한 값들이 들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예시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Web.xml 의 구조 아래는 spring프로젝트를 만들면 생성되는 기본 web.xml 파일 입니다. 구역마다 나누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으며 기본으로 생성되는 web.xml파일임으로 이 외에도 자주사용하는 설정들에 대하여 추가적으.. 2019. 7. 15. [Spring] Legacy Project 세팅 및 만들기 1. STS 란? STS는 이클립스(eclipse)에 스프링프레임워크 관련된 패키지가 포함된 프로그램입니다. 사실상 이클립스라고 생각해도 되며 일반 이클립스를 다운받은 후에 이클립스 마켓에 Spring관련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spirng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개발도 가능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일반적인 이클립스가 아닌 스프링관련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는 STS를 기준으로 설치와 세팅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 STS 다운로드 Spring공식 사이트 링크입니다. 이 링크에서 sts를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클립스 외에도 VScode라던가 다른 IDE도 있지만 이 포스팅에서는 이클립스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Spring Tools 4 Spring Tools 4 is the next generation.. 2019. 7. 14.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